암등록 · 통계사업 정의
우리나라 암발생 자료의 수집·질 관리·분석을 통하여 국가 암관리 정책 수립과 암관련 연구에 필요한 신뢰성 있고 정확한 암등록통계 자료를 제공하고, 국민들에게 암등록통계 관련 정보를 알리는 사업입니다.
암등록 · 통계사업 목적 및 필요성
암등록·통계사업은 특정 지역의 암발생 수준을 알아내고 이를 모니터링 할 목적으로 암발생에 관련한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암등록통계를 산출하는 활동입니다.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암관리 정책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지역사회에서 암의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국가통계를 산출하는 것입니다. 암등록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향후 암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의료진, 병원, 비용 등을 예측하며, 암의 발생추세와 집단발병을 확인하여 암 원인을 규명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지역별 암발생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암에 대한 부담을 알아냅니다. 또한 새로운 암예방, 암진단, 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암 교육·홍보자료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암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통계로는 암발생률, 암사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그리고 의료비에 관한 통계 등이 있습니다. 암발생률은 특정 시기에 암으로 새로 진단받는 사람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자료이며, 암사망률을 통해 몇 명이 암으로 사망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암생존율은 암환자 중 암 발생 후 특정기간 동안 살아있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며, 암 유병률은 현재 몇 명이 암환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중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은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암사망률은 사망신고서를 집계하여 통계청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암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통계로는 암발생률, 암사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그리고 의료비에 관한 통계 등이 있습니다. 암발생률은 특정 시기에 암으로 새로 진단받는 사람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자료이며, 암사망률을 통해 몇 명이 암으로 사망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암생존율은 암환자 중 암 발생 후 특정기간 동안 살아있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며, 암 유병률은 현재 몇 명이 암환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중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은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암사망률은 사망신고서를 집계하여 통계청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 |
[ 암등록·통계사업 ] |
병원 암등록 (Hospital-based Registry) | 인구기반 암등록 (Population-based Registry) | 암종별 암등록 (Site-specific Registry) |
---|---|---|
의료기관에서 자체적으로 해당 병원에서 진단, 치료받은 암환자를 등록하는 체계 | 어떤 지리적인 영역 내에서 지역 인구에 기반을 둔 모든 암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등록하는 체계이며, 우리나라에는 중앙암등록본부와 11개 지역암등록본부가 있음 | 관련학회를 중심으로 특수한 암(뇌종양 등)에 대한 자료를 등록하는 체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