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25일 목요일

간경변(경화) /합병증


손상된 은 대부분의 신체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소화기계, 내분비계, 순환기계의 기능 등이 포함됩니다.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대상부전과 연관된 것들입니다. 이는 간경변증이 진행할 때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출혈, 복수
  • 감염
  • 간성뇌병증
간경변증은 비가역적인 질환이지만 원인에 따라서 느리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 환자의 5년 생존률은 85%정도 입니다. 하지만 질환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서 생존률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습니다.

1. 문맥고혈압

간경변에서, 세포 손상은 혈류를 느리게 합니다. 이는 간문맥을 통해 혈류가 역류하는 현상을 일으켜 문맥고혈압을 발생하게 합니다. 문맥고혈압의 영향은 광범위하고 심각하며 정맥류 출혈, 복수 등 여러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1) 복수와 체액 정체

복수는 복강 안에서 체액 정체 되는 것으로 환자들에게 불편감을 주고 심해질 경우 호흡기능과 배뇨기능을 감소시킵니다. 복수는 보통 문맥고혈압에 의해 발생하지만 다른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창(부기)이 다리나 팔, 비장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복수 자체로는 치명적이지 않지만, 간경변증이 상당히 진행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 중 하나입니다.

2) 정맥류 출혈

문맥고혈압의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정맥류 발생입니다. 정맥류는 간에서 역류되어온 혈액에 심장으로 가는 다른 통로를 공급하기 위해 늘어난 혈관을 말합니다. 2/3정도의 환자가 식도에 정맥류가 형성되는데 다음과 같은 이유로 파열과 출혈의 위험이 아주 높습니다.
  • 정맥류는 혈관벽이 얇습니다.
  • 종종 꼬여 있습니다.
  • 혈관 내부의 압력이 높습니다.
  • 간경변 환자의 20~30%는 이 정맥류에서 출혈(internal bleeding)이 발생합니다. 한번 발생 시 사망 위험이 약 20%까지 됩니다.
정맥류 출혈은 첫 출혈 후 2주내에 가장 잘 재발합니다. 그러나 6주가 지나면 재발 위험이 한번도 출혈하지 않았던 환자의 위험율과 거의 같아집니다.
정맥류 출혈을 예견하는 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큰 정맥류
  • 정맥류에 적색 증후(red color sign)가 보이는 경우
  • 간기능의 저하
고위험군에서 출혈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심한 운동
  • 세균 감염
위험한 징후가 보이면 식도정맥류 여부를 검사하고 예방 약물이나 내시경 치료를 합니다.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의 20~30%는 출혈을 경험하게 되며 이 경우 사망률은 20~35%정도입니다.

2. 신부전

문맥고혈압이 신부전과 같은 이차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가 신부전의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3.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은 비정상적인 혈액응고 때문에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비타민 K 감소와 혈소판 감소증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4. 감염

세균에 의한 감염은 어느정도 진행된 간경변증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심지에는 출혈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요로감염, 호흡기계 감염, 위장관감염과 같은 대부분의 감염은 환자가 병원에 있을 때 발병합니다. 이 중에서 특히 복강 감염이 문제가 되는데, 진단 후 1년 안에 간경변증 환자의 25%정도에서 감염이 발생합니다.

5. 간성뇌증(간성혼수)

의식 저하는 진행된 간경변증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는 뇌병증을 일으키는데 의식 저하는 그 정도에 따라 착란에서 혼수, 심지어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과 연관되어 생기는 간성혼수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 암모니아와 같은 해로운 장내 독소가 혈액 내 축적
  •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아미노산의 불균형
  • 위장관 출혈, 변비
  • 과도한 단백 섭취
  • 감염, 수술, 탈수
뇌병증의 증세
간성 뇌병증의 초기 증세로는 잘 잊어버리고, 반응이 느리고,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흥분, 착란과 같은 정신상태의 갑작스런 변화는 응급 상황입니다. 다른 증상들로는 구취, 진전 등이 있고 후기 증세로 혼미, 혼수 등이 있습니다.

6. 간신 증후군(Hepatorenal syndrome)

간에서 혈류가 변경되면 이에 반응하여 콩팥은 자신의 혈류를 확 줄이는데 이때 간신 증후군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소변이 검은색을 띠고, 요량이 감소하며, 의식변화, 오심, 구토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7. 간암

간경변은 간암의 발생을 증가 시킵니다. 만성 B형, C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의 4%정도에서 간암이 생깁니다.

8. 골다공증

30%의 환자에게 골다공증이 발생하는데 이는 간견병증이 없는 일반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발생률의 두배입니다.

9. 기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당뇨병, 담석 등

댓글 없음:

댓글 쓰기